카테고리 없음

멀티링크 Linktree vs Linkon vs Inpock vs Little 비교

조이스 이야기 2025. 8. 11. 16:38

 

 

SNS 프로필에 링크 하나만 등록할 수 있는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멀티링크 플랫폼이 필수가 됐습니다. 대표적으로 Linktree, Linkon, Inpock, Little이 있으며, 각 서비스는 기능과 타겟, 가격에서 차이를 보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 네 가지를 객관적으로 비교해 드립니다.

 

Linktree 바로가기 👆

 

Linkon 바로가기👆

 

Inpock 바로가기👆

 

Little 바로가기👆

 

 

1) Linktree

특징: 글로벌 1위급 사용자 기반, 무제한 링크 추가, 기본 통계, 다양한 외부 서비스 연동.
강점: 전 세계 크리에이터가 쓰는 표준에 가까운 사용성, 테마/버튼/썸네일 등 구성 요소가 풍부.
아쉬움: 일부 고급 기능은 유료(Pro)에서 제공, 한글 UI/가이드가 상대적으로 적음.
추천: 해외 타깃 캠페인, 글로벌 팔로워가 많은 인플루언서/브랜드.

 

2) Linkon

특징: 한글 UI 기반, 국내 사용자에게 익숙한 메뉴 구조, 브랜드 커스터마이징에 강점.
강점: 세팅 과정이 직관적이고 빠름, 로컬 비즈니스(매장/예약/상담) 연결에 유리.
아쉬움: 글로벌 결제/CRM 등 특정 연동 생태계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음.
추천: 국내 시장 중심의 쇼핑몰·자영업·에이전시.

 

3) Inpock

특징: 크리에이터 친화 흐름(후원/이벤트/신제품 알림 등)에 초점, 모바일 최적화.
강점: 팬 커뮤니티 운영 흐름(소식→참여→구매/후원)이 자연스러움.
아쉬움: 디자인 자유도·세밀한 분석은 심플한 편.
추천: 1인 창작자, 팬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유튜버/스트리머.

 

4) Little

특징: 미니멀·비주얼 중심 레이아웃, 사진·작품 포트폴리오에 잘 맞음.
강점: 가볍고 빠른 페이지, 이미지/썸네일 강조에 적합.
아쉬움: 고급 분석/마케팅 기능은 제한적.
추천: 포트폴리오형 링크가 필요한 디자이너/사진작가/크리에이티브 직군.

 

5) 핵심 비교표

서비스 주요 강점 아쉬움 추천 대상
Linktree 글로벌 사용자·다양한 연동·무제한 링크 일부 기능 유료, 한글 가이드 적음 해외 타깃 크리에이터/브랜드
Linkon 한글 UI·브랜딩 커스터마이징·빠른 세팅 글로벌 연동 상대적 제한 국내 비즈니스/소상공인
Inpock 팬 후원·이벤트 친화·모바일 최적화 디자인/분석 단순 1인 크리에이터/커뮤니티
Little 미니멀·비주얼 포트폴리오 최적 기능 단순 포트폴리오 중심 사용자

 

6) 선택 가이드 (상황별 추천)

  • 글로벌 팔로워 보유: Linktree — 다양한 연동과 국제 표준 UX.
  • 국내 고객 전환이 목표: Linkon — 한글 UX와 간편 세팅.
  • 팬덤 참여/후원 중심: Inpock — 커뮤니티 흐름 최적화.
  • 작품 중심 브랜딩: Little — 비주얼·미니멀 페이지에 강점.

 

7) 설정 팁(공통)

  1. 상단 3링크 최적화: 매출/문의/대표 콘텐츠를 맨 위로 고정.
  2. 링크 제목 A/B 테스트: “지금 보기/한정 혜택/무료 체험” 등 클릭 유도 문구 사용.
  3. 분석 주기화: 주 1회 클릭/이탈을 확인해 비효율 링크는 하단 이동·삭제.
  4. 브랜딩 일관성: 프로필 이미지·컬러·폰트를 SNS와 맞춰 인지도 강화.
  5. 랜딩 속도: 링크 수는 5~8개 중심으로 가볍게 유지.

 

Linktree 바로가기 👆

 

Linkon 바로가기👆

 

Inpock 바로가기👆

 

Little 바로가기👆

 

 

 

출처: Google Trends(관심도·수요 흐름), 각 서비스 공식 안내 페이지(기능·요금 안내)